함수 그래프 위에서 공 튀기기
원본 열기
설명
- 지난 글 "공 튀기기(Bouncing Ball) with AlgeoMath"에서 소개했던 삼각함수 그래프 위에서 공 튀기기를 일반화했다.
- 동작(->) reset을 클릭하면 초기화한다.
- 원하는 함수를 f(x)로 정할 수 있다.
- 좌표평면의 시작 위치 점을 움직여 처음 공이 운동할 위치를 정한다.
- 슬라이더 n으로 공의 개수를 정한다.
- 슬라이더 speed0로 공의 처음 속력을 정한다.
- 슬라이더 x_G로 중력 방향의 x좌표를 정한다.
- 슬라이더 y_G로 중력 방향의 y좌표를 정한다.
- 슬라이더 isTail로 공의 속도를 나타내는 꼬리를 보이고 감춘다.
함수 그래프 위에서 공 튀기기 (카메라 이동)
원본 열기
설명
- 위의 공 튀기기와 같은 원리이며, 같은 방식으로 동작과 슬라이더를 조절한다.
- 단, 한 공만 따라가며 관찰한다.
타원 내부에서 공 튀기기
원본 열기
설명
- 지난 글 "공 튀기기(Bouncing Ball) with AlgeoMath"에서 소개했던 타원 내부에서 공 튀기기를 데스모스로 옮겼다.
- 위의 공 튀기기와 같은 원리이며, 같은 방식으로 동작과 슬라이더를 조절한다.
- 동작(->) focus를 클릭하면 시작 위치 점이 타원의 초점으로 이동한다.
- 데스모스의 티커(ticker)로 여러 동작(->)을 사용해보니,
- 처음에는 블록코딩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 것이 아쉬웠으나
- 조금 더 사용하며 적응해보니 사용편의성이 뛰어나서 비슷한 원리가 쓰이는 작업을 할 때는 앞으로 데스모스를 사용할 것 같다.